에어프라이어 전기요금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저도 에어프라이어를 직접 사용 중인데요. 에어프라이는 너겟, 핫도그, 치킨, 고구마 등 아주 활용도가 높고 만족도도 높은 가전제품입니다. 안 샀다면 후회할 정도입니다. 이렇게 편리하고 맛있는 제품이지만 에어프라이어 전기요금이 많이 나올까 봐 찾아보았는데요. 이미 저처럼 걱정해서 실험까지 해 본 분들이 많이 계시더군요. 저도 그분들을 보며 계산을 조금 해보았습니다. 에어프라이어 전기요금 얼마나 나올지 계산해봅시다.
에어프라이어
에어프라이어를 사용 시 전기로 200도 가깝게 열을 만들어내야 하기 때문에 전기요금을 걱정합니다. 저도 걱정했었는데 생각보다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지 않습니다. 실제로 자주 사용하지만, 에어프라이어 사용하기 전과 후의 전기요금이 체감될 정도로 많이 오르지 않았습니다. 우리 집은 에어프라이어를 일주일에 한두 번 한번 요리할 때 20분~40분 정도 사용하는데 혹시 또 모르겠습니다. 매일매일 사용한다면 체감될 정도로 많이 오를 지도요.
에어프라이어 요금 후기들
실제로 전기요금은 드라이기, 전자레인지, 냉장고, 에어컨, 전기장판 등으로 인해 올라가게 됩니다. 드라이기나 전자레인지는 사용시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사용해도 얼마 나오지 않는 것입니다. 에어프라이어도 사용시간 몇십 분이 되지만 실제로 온도가 맞춰지면 유지만 하므로 실사용시간은 많지 않다고 합니다. 1,700W, 1,000W 라고 나와 있는 것은 최대소비 전력이기 때문에 그 수치에 너무 겁내지 않으셔도 됩니다. 최대 소비전력을 계속 사용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소비전력은 프라이어에 붙어 있으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에어프라이어 전기 사용량 계산
네이버에서 나오는 전기제품 사용량 계산기와 총 사용량 요금 계산기를 해보았는데요. 소비전력 1700W로 하루 1시간 사용 시 월간사용량은 51kWh입니다. 이를 전기요금 계산기에 넣어보면 한 달 2~3천 원 가량이 나옵니다. 전기세가 가장 많이 나올 것 같은 에어컨도 하루 한 시간만 사용하면 총 요금이 별로 나오지 않습니다. 누진세로 사용하는 전력량이 많아지면 걷잡을 수 없지만, 실제 가정에서는 그 정도 사용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에어프라이어 요금 계산
에어프라이어를 사용한 후의 전기요금을 올려주신 분들의 후기를 보니 사용 후 요금이 만원 정도 더 나왔다는 후기가 있습니다. 일반인의 후기는 다른 전기제품의 사용도 있어서 정확한 수치는 아닙니다. 어떤 업체에서는 하루 30분씩 사용하면 한 달 2,715원이 나온다는 결과를 올려놓았네요. 참고하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롤스타즈 버그판 링크 사기 후기 (0) | 2019.03.03 |
---|---|
2019 번개맨 공연일정과 공개방송 방청권 나눔 게시판 (0) | 2019.03.03 |
피파온라인4 조작키 보기와 설정 바꾸기 (0) | 2019.03.02 |
아이폰 문자전송 실패 가장 먼저 확인해볼 것 (0) | 2019.03.02 |
레식 전적검색 사이트 추천 (0) | 2019.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