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식 부조금 액수를 어떻게 정해야 하나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최근 날씨가 추워지면서 제 주위에서도 안 좋은 소식들이 조금씩 들려오고 있습니다. 장례식의 경험이 많이 없는 젊은 사람들의 경우 장례식 부조금 액수를 고민하고 물어보는 경우가 더러 있는데요. 저는 상주와의 관계, 상주와 돌아가신 분과의 관계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장례식 부조금 액수가 얼마인지 알아보고 상갓집 절하는 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장례식에 참석하는 것은 상을 당한 지인에게 큰 위로를 해 줄 수 있는 자리입니다. 큰 슬픔에 이야기가 들어오지 않는 듯하지만 찾아와 주는 지인들에게 고마움을 느끼게 되지요. 장례식에서 내는 부조금은 품앗이 개념으로 힘든 일이 있을 때 도움을 주는 의미로 장례를 치를 때 드는 비용을 돕기 위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부조금의 액수는 장례식에 갈 때마다 고민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크게 고민할 것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부조금을 내는 액수에 맞추어서 금액을 정하면 되기 때문이죠. 만약 그런 금액들이 부담되는 상황이라면 장례식에 참석하고 적은 금액이라도 부조금을 내는 것에 의미를 두고 가서 위로를 해주면 됩니다. 중요한 건 부조금의 액수가 아니라 장례식 소식을 듣고 달려온 우정이니까요.
보통 장례식장에 내는 부조금은 홀수 액수입니다. 옛날부터 홀수가 양의 기운을 가졌다고 생각하여 홀수로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3만 원, 5만 원, 7만 원, 10만 원, 또는 그 이상을 내게 됩니다. 이 금액들은 상을 당한 지인과의 관계에서 정해집니다. 알고는 있지만, 평소 친밀하게 관계를 주고받는 사람이 아닌 경우 3만 원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주 연락하지는 않지만 챙겨야 한다고 생각되는 사람의 상갓집에 갔을 때 부조금을 3만 원 합니다.
학교 동창, 친구, 친분이 있는 지인 등 평소 관계를 잘 맺어왔던 사람들이 상을 당했을 때 5만 원을 냅니다. 홀수 금액이지만 장례식에서 7만 원을 내는 경우는 잘 보지 못했으며, 10만 원, 또는 그 이상 금액을 부조금으로 내는 경우는 가까운 친구나 가까운 친인척 등 나와 정말 가까운 사람에게는 10만 원 이상을 냅니다.
이런 금액은 절대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며 본인의 상황에 맞춰 내는 것이 맞습니다. 억지로 맞추어 낼 필요는 없다고 생각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참석하고 함께 해주는 것임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상갓집 절하는 법과 의상은 알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장례식장을 찾는 예의를 지키는 것이 상을 당한 사람에 대한 예의입니다. 상갓집 절하는 법은 절을 2번 합니다. 영정 앞에서 큰절을 두 번 하는 것입니다. 영정 앞에서 두번 상주 앞에서 한번 절을 합니다. 기독교로 장례식을 진행한다면 절을 하지 않고 영정 앞에 서서 기도를 하는 것으로 대체합니다. 장례식장 의상은 보통 검은색과 흰색의 의상을 입고 갑니다. 검은색이 없다면 최대한 검은색과 가까운 어두운 계열의 옷을 입고 가면 됩니다. 화려하지 않게 단정한 차림으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멜론 프리클럽 해지 900원 자동결제 해지 PC (0) | 2018.12.21 |
---|---|
무지완 apk 무료 6.6.3 다운로드 (0) | 2018.12.19 |
구라제거기 다운로드 hoax eliminator 암호 (0) | 2018.12.17 |
카카오페이 비밀번호 재등록 비밀번호 바꾸기 (0) | 2018.12.17 |
토스 마이너스통장 조건 개설방법 수협제휴 마이너스통장 (0) | 2018.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