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천문 닫히는 시기
신생아를 돌볼 때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인 대천문에 대해 알아보고 대천문 닫히는 시기가 언제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신생아의 머리, 정수리 부근에 있는 대천문은 이미 많은 분이 알고 계십니다. 신생아의 머리에서 숨을 쉬듯 움직이는 부분이 있는데 이를 대천문이라고 합니다. 대천문 닫히는 시기가 되기 전에는 아기의 머리를 조심해서 다루어야 하며 대천문을 체크하여 모양이나 움직임이 좋지 않다면 질환을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갓 태어난 아기는 정말 귀엽습니다. 어떻게 이렇게 작은데 손, 발, 눈, 코, 입 등 여러 기관이 다 있을까 신기하기도 하고 보고 있기만 해도 마음이 따뜻해집니다. 이런 아기를 돌볼 때는 대천문을 잘 신경 써야 합니다. 신생아들은 아직 대천문이 닫히지 않아 충격이나 자극에 노출되지 않아야 합니다.
대천문
아기들이 태어나고 몇 개월 지나지 않았을 때는 두개골, 후두골, 측두골 등이 완전히 굳거나 결합하지 않고 사이사이가 벌어져 있습니다. 특히 대천문은 가장 많이 벌어져 있는 공간이라 세게 부딪혀 충격을 받게 되면 치명적입니다. 대천문이 일찍 닫히는 아이는 지능이 떨어진다는 이야기도 있어 엄마들이 신경을 쓰는 부분이라고 하는데 확실치 않습니다.
대천문이 닫히지 않는 이유
대천문이 열려있는 첫 번째 이유는 출산 시 아기가 엄마의 산도를 빠져나오기 위함입니다. 머리가 완전히 굳거나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태어나야 좁은 산도를 잘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두개골 뼈가 겹쳐지기도 하여 머리가 잘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합니다. 두번째 이유는 아기가 성장할 때 뇌가 급속하게 발달하는데 뇌의 발달에 맞추어 두개골도 같이 커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생후 두 돌까지 아기의 뇌 성장은 2/3 정도 진행됩니다) 천문이 일찍 닫히면 더 커질 여유가 없어져 뇌 발달에 방해될 수 있습니다.
닫히는 시기
열려있는 대천문은 언제부터 닫힐까요? 아기의 대천문은 생후 10개월부터 조금씩 닫히기 시작합니다. 18개월 정도면 어느 정도 닫히게 되는데 늦더라도 두 돌, 24개월에는 닫힌다고 이야기합니다. 소천문은 생후 8주 정도면 닫히고 크기가 작아서 많이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예로부터 대천문을 항상 조심해야 한다며 신생아에게는 모자도 잘 씌우지 않았습니다.
대천문을 보고 아기의 건강을 체크할 수도 있습니다. 대천문이 심하게 꺼져 보이거나 위로 솟아 보이는 경우,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은 경우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불룩하게 팽창되어 있다면 뇌압의 상승, 쑥 들어가 있다면 탈수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코털 나는 이유 흰색코털 뽑으면 괜찮을까 (0) | 2018.12.28 |
---|---|
눈다래끼 옮나요 눈다래끼 전염가능성 (0) | 2018.12.24 |
2019년 4대보험 계산기 링크 4대보험요율 (0) | 2018.12.23 |
입안 피멍울 입안 피물집 입속 피물집 대처법 (0) | 2018.12.23 |
한쪽귀가 아파요 원인에 따른 치료방법 (0) | 2018.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