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피치 브레이크의 간단한 설명

고음으로 올라갈수록

목이 조여지고, 후두가 올라가거나 목소리가 갈라지며

더 이상 고음을 낼 수 없게 되는 현상

 

2. 피치 브레이크의 종류

* 목이 막혀 고음이 더 이상 올라가지 않는 현상

* 일정 음 이상에서 음 이탈 현상(일명 삑사리)

 

3. 피치 브레이크의 원인

 

남성이 고음이 '라' 음(440Hz)를 내려면 성대가 1초에 440번 진동해야합니다.

그 음을 내기 위해 성대는 440번 진동 할 수 있는 조건이 되어야 하는데

성대를 그 음에 맞는 조건으로 맞추어 주는것을 "성구전환" 이라고 합니다.

전 강좌에서 설명한 흉성,중성,두성의 성대 진동패턴으로 변화 되어야 하죠

 

성구전환이 되지 않아 그 음을 내는데 필요한 조건이 되지 않으면

성대만으로 그 음을 낼 수 없게 되어 인체는 다른 보상작용을 통하여 그 음을 내려고 합니다.

그 다른 보상작용을 하는것을 피치 브레이크 현상이라고 부릅니다.

 

몇가지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고음을 내기위해 호흡압과 호흡량을 증가시켜 큰 소리로만 낼 수있는 현상

고음을 내기위해 목을 조이는 현상

성구의 급격한 변화로 소리의 톤이 급격하게 변하는 현상

성대가 더이상 버티질 못해 순간 풀려버리는 현상(삑사리) 이 있습니다.

 

 

4. 피치 브레이크의 현상들

후두가 올라가고, 후두부의 협착이 있다

혀와 턱이 나온다

목주위의 근육들이 눈에띄게 보인다

고음이 잘 나지 않는다

고음발성 후 저음이 잘 나지 않는다

가성이 잘 나지 않는다

호흡이 흉식호흡으로 바뀜

고음부에서 비음이 남

그 현상이 시간이 지날수록 심해짐

성대를 무리하게 사용하여 음성질환의 원인이 된다

 

5. 피치 브레이크가 성대에 끼치는 영향

 

성구전환을 하지않아 각 음에 맞는 조건대로 성대의 진동패턴이 변화되지 않을경우

고음부에서 호흡압과 호흡량의 증가로 보상하게 되면 

성대의 열이 발생하고 이를 식히려 조직액이 성대의 라인케씨공간(Reinke's space)으로

들어오게되면 성대는 붓게 됩니다.

쉽게 말하면 일시적으로 뚱뚱해지게 되어 더 굵은줄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 조직액이 다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또 성대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회복속도가 점점 느려지게 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더 고음이 어려워 지게 됩니다.

노래하는사람에게 일시적으로 붓는것는 누구나 있는 일이지만,

붓는것이 심해지면 성대 부종이 되는것입니다.

 

피치브레이크를 변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성대 뒤를 벌리는 발성을 할 경우

성대결절을 유발하는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하며

중저음이 잘 나지 않고 발음이 불분명해지는 중성모음화된 소리를 내게 됩니다.

뒷부분이 벌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호흡이 많이 새어 항상 호흡이 부족하게 됩니다.

 

6. 피치 브레이크의 해결

피치 브레이크를 해결하는 방법은 각 음에 맞는 성구로 발성을 하는것

올바른 성구전환을 하는것입니다.

 



질문, 상담 환영합니다.

노래하는음악가 

http://cafe.naver.com/thesingingmusician

반응형
반응형



박효신. 81년생.

정말 대단합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가수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고등학교때 박효신 목소리를 따라해 보려고 얼마나 노력을 했는지.. 도저히 되지 않더군요

그 당시에는 '소몰이창법'이라고 해서 울기만 하면 되는지 알았는데

이제 들어보니 정말 깊은 소리를 내고 있었네요


040611 KBS 생방송 뮤직뱅크 293회 보고 싶다, 해줄 수 없는 일


4년전인데 아직 박효신은 요즘의 내는 소리보다 더 깊은 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둘다 정말 잘 하는데 깊이를 비교하자면 박효신이 좀 더 깊은 느낌의 소리를 내고있지요

성도(성대부터 입까지의 공명관, 공명강)가 길고 더 넓어서 이런 류의 소리가 납니다.


박효신도, 김범수도 힘을 빼지않고 버티면서 노래를 하고있지요.


개인적으로 '추억은 사랑을 닮아' 부터 깊은 느낌과 힘을 좀 더 조절하며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것 같습니다.






요즘에는 뮤지컬까지 활발히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이제는 컨트롤도 훨씬 잘 하고 있습니다.

초반의 가벼운 소리에서, 고음을 올라갈때 버티는 힘을 잘 느껴보세요. 

그 버틸 수 있는 능력이 제 생각엔 초반의 저 깊은 소리를 내면서 연습되고 몸에 익은것 같습니다.


저도 목이 좁은 관계로 

박효신 처럼 더 넓고 깊은소리를 내려고 하고 

그 상태로 노래하려고 노력하고있습니다.


질문,상담 환영합니다.

노래하는음악가

http://cafe.naver.com/thesingingmusician



반응형
반응형

 

 

호흡훈련 보조기구인 '울트라브리드'라는 기구입니다.

 

호흡 근육들을 운동시키는 기구입니다.

 

입에 물고 저항(작은 구멍)을 만들어서 숨을 잘 마실수 없게 만들어 놓고,

횡격막의 힘으로 숨을 들이쉬도록 하는 기구입니다.

 

입으로만 호흡을 하셔야 합니다.

 

 

사진에서 1이라고 표시된 부분은 마우스피스 처럼 입에 무는 부분입니다.

사용 전후로 깨끗이 씻어줘야겠죠.

 

 

2라고 표시된 부분의 구멍이 공기가 통하는 구멍이고 그 옆에 돌리는 부분을 통해

구멍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3은 저는 잘 사용하지 않는부분인데, 호기시에 숨을 편하게 뱉도록 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돌려서 열어보시면 안에 플라스틱 구슬같은게 있습니다.

꽉 돌려서 막는다면 흡기(들숨), 호기(날숨)시에 2번의 구멍으로만 공기가 통하게 되고

덜 조이게 되면 흡기시에는 구슬이 빨려들어가 구멍을 막아 2번의 구멍으로만 공기가 들어갈 수 있고

 

호기시에는 2번과 3번의 구멍으로 동시에 공기가 빠져나가게됩니다. 뱉기가 훨씬 수월합니다.

 

실제로 사용해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 조심해야할점은................ 침.....!!  해보시면 아실겁니다^^;;

 

 

- 울트라브리드를 물고 그냥 호흡만 계속 하면 되느냐? 란 궁금증이 있으실 겁니다.

 

저는 횡격막 운동을 많이 시키려고 최대한 작은 구멍으로 연습을 했었는데요

 

남도현 교수님께서 그렇게 힘들게 할 필요는 없다고 하셨습니다.

 

3초정도 만에 흡기,호기를 할 정도의 구멍을 만들어 놓고 하면 된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울트라 브리드로 하는 호흡연습 방법

 

1. 올바른 자세잡기. 바로 서서 허리와 가슴을 펴고 아랫배를 당기고 턱을 당김. 거북목과 거북등X

 

2. 3초만에 입으로만 크고 빠르게호흡을 마심. 마시면서 윗배와 가슴이 확장되어야 함.

   후두가 내려가는지 확인

 

3. 3초 유지. 확장된 상태로 멈춤

 

4. 3초만에 입으로 모든 숨을 뱉음. 가슴과 배가 줄어드는데, 가슴은 편 상태를 유지하도록 노력.

 

 

 

====================================================================

 

팁으로, 제가 울트라브리드가 없을때 생각해놓은 방법이 있는데 알려드리자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곳에 저항을 만들면 되니까

 

손으로 주먹을 쥐고 입 앞을 막고 입으로 호흡을 하는겁니다.

 

주먹을 세게쥐면 저항이 커지고 풀게되면 저항이 약해지니 같은 효과입니다 ^^;;

 

저는 보통 공연전 워밍업을 할때 한번씩 하곤 합니다.

 

====================================================================

 

'노래하는 음악가(The Singing Musician)' 카페에 오시면

 음악과 보컬이론 등 더 많은 정보가있습니다!

 

http://cafe.naver.com/thesingingmusician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노래하는음악가, 보컬트레이너 김성엽입니다.


오늘은 많은 노래하는 사람들이 가지고 싶어하는 허스키보이스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성대 사진과 영상들이 첨부되어있으니 조금 징그럽게 느끼실 분들도 있으니 미리 말씀드립니다.


저는 예전 아무것도 모르고 노래방만 다닐때, 굵고 거친 목소리를 부러워해서 따라해보려고 한 적이 있습니다.

따라하다가 힘들고 목아파서 '나는 안되는구나..' 하면서 포기했었지요


발성과 음성에 대해 공부하다 보니 그 허스키한 목소리가 좋은것만은 아닌것을 깨닫고 

저도 그렇고 다른 사람에게도 조심하라고 전하고 다닙니다.


원래 사람의 성대는 부드럽고 매끈한 점막으로 되어있습니다.

그 성대가 잘 접촉하면 잡음이 섞이지 않은 깨끗한 소리가 납니다.

그러나 그 성대표면에 문제가 있을경우 성대가 잘 붙지 못해 거친 잡음이 같이 섞여 나게 됩니다.

성대의 어디는 접촉하고 어디는 벌어져있어서 그 사이로 바람이 새고 표면이 거치니까 당연히 거친 소리를 만들어 내게 됩니다.



먼저 정상범주에 속하는 제 성대를 올려드립니다.



성대결절이 있는 성대 사진입니다.

 출처:http://voicehealth101.com/topics/vocal-nodules


양쪽 성대 중간에 흰색의 돌기같은게 튀어나와 있는게 보이시죠?

그걸 성대 결절이라고 합니다.

저렇게 중간에 튀어나와있는것이 성대의 진동과 접촉을 방해해서 거친 목소리를 만들어냅니다.


글로 적는것 보다 보고 듣는것이 낫다고 생각해서 

자세한 내용은 뉴스내용에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뉴스에서는 결절은 수술로 치료해야한다 하지만, 

심각한 경우가 아니라면 올바른 발성훈련을 하면 없어집니다.


상담, 문의 환영합니다.

노래하는음악가 

http://cafe.naver.com/thesingingmusician

반응형
반응형

아래는 남도현교수님이 정리하신 발성법에 관련된 용어들 입니다.

성악에서는 이러한 용어들을 오래전부터 사용해왔습니다.

이러한 용어와 표현으로 서로 소통한다면 오해가 줄어들 수 있겠죠?!

출처: 남도현발성법 카페 

http://cafe.naver.com/vocalizi




* 성구(Register)

  흉성(chest voice), 중성(middle voice), 두성(head voice),가성(falsetto)등으로 구분되며
  16세기 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로서 소리를 공명감각으로 구분하여 사용되어 지금까지 쓰여지고 있으나,
  음성학에서는 이러한 구분에 반대하여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 성구전환(vocal register transition)
  발성 시 가장 기본적이면서, 가장 중요한 발성테크닉으로 중저음에서는 흉성과 중성으로 발성하다가 
  고음으로 가면서 두성으로 전환하는 발성테크닉이다.

* 빠싸죠(passaggio)
  이탈리아어로 성구전환을 하면 고음과 저음의 음색과 음질이 달라지게되는데 이를 균질한 음색으로 만드는 발성테크닉

* 지라레(girare)
  이탈리아어로 저음에서 고음으로 상향발성 시 소리가 마치 돌아서 앞으로 나가는 것 처럼 들리는 현상을 표현한 발성용어이다.
  실제로는 빠싸죠를 할때 후두가 아래로 하강하면서 공명강의 길이가 변화하고 성대접촉이 증가할때 나타나는 현상을 
  표현한 발성용어이다.
 
* 꼬뻬르또(coperto)
  이탈리아어로 빠싸죠를 할때 공명강을 확장하면 마치 소리를 감싸는 것처럼 들리는데. 이는 성대접촉을 강화시키기 위해 
  성문을 페쇄시킬때 나타나는 현상을 표현한 발성용어이다.

* 아뻬르또(aperto)
  이탈리아어로 열린소리를 나타내는 말로 영어의 open과 같은 뜻이다. 
  중 저음에서 흉성과 중성의 발성에서 성대의 진동폭이 커서 성문이 열릴 때의 소리를 말한다. 복합진동파형에서 나타난다.
  (가르시아가 처음 성대를 관찰하였을때 중 저음에서는 성문이 열리고 고음에서는 성문이 닫히는 현상을 관찰하었다)

* 보체 미스다(voce misda, 영어:mix voice)
  이탈리아어로 성구전환을 할때 성구와  성구사이에 나타나는 소리로 "성구가 믹스된 소리" 란뜻이다. 
  이론적으로는 세개의 "믹스보이스"가 있다. 이 현상의 소리가 없으면 성구전환 시 음색이 급격한 변화를 보인다.  

* 피치 브레이크(pitch break)
  흉성이나 중성의 소리로 고음을 발성할때 나타나는 발성장애로 성구전환없이 호흡압력으로만 발성할때 나타난다.
  후두가 상승하고 목이 좁아지고 고음발성이 어려우며, 턱과 혀가 나온다. 심해지면 가성이 나질 않는다.

* 피치가 높다.
  원래의 뜻은 음이 높이가 높다는 뜻이나, 실제로는 발성 시 공명 감각적인 표현으로 쓰여진다.
  피치가 높게들리는 현상은 성대의 상연이 얇게 접촉할때 나타난다.

*마스케라(maschera)
 공명의 느낌을 표현한 말로 안면부위를 울려라,소리가 앞쪽으로 나는느낌, 이마를 울리라와 같은 표현으로 
성대가 전체적으로 얇게, 목이 열려있을때 나타나는 현상의 아탈리아어 표현

*성대접촉률(Closed Quotient)
  성대의 전체 진동주기 중 성대가 접촉하기 시작하여 완전히 떨어질 때까지의 비율로
  성대접촉률이 50%이면 성대가 붙는 시간의 50%이고 나머지 50%는 떨어져있는 시간을 말한다.
  말소리는 보통 성대접촉률이 50-52%정도이고, 남성성악가의 발성 시 성대접촉률은 55%정도, 여성소프라노는 40%
  남성 실용음악가는 53% 여성 실용음악가는 48%정도이다, 
  40%이하이면 저 기능이고 60%이상이면 과기능적 발성을 하는 것이다. 

*기본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 F0)
  성대가 1초간 진동하는 횟수. 남성의 말할 때 기본주파수는 100-150Hz,여성은 200-250Hz

* 배음(Harmonic)
  기본주파수의 1배 2배 3배등의 주파수를 말하며, 
  성대에서는 기본주파수와 배음이 동시에 만들어지기때문에 복합음이라한다.

*음형대(Formant)
  성대가 진동하면 기본주파수와  배음이 만들어진다.이를 성대원음
  성대원음이 공명강을 통과하면서 어때 혀의위치에 따라 강화되는 배음이 있고 필터링되어 감소하는배음도 만들어진다.
  이때 가장 강화되는 배음을 순서대로 제1 제2 제3,4,5 포만트라고 한다.
  모음은 1.2포만트에 의하여 결정된다.



반응형
반응형


폐의 호흡운동에 대해 조금 잘못 알고계시는 분들도 있고

글로만 적으면 어려울거 같아서 좀 쉽게 모형을 통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일단 폐에 호흡이 들어가서 부풀어서 -> 횡격막이 내려간다는 이론


폐는 얇은 세포층으로 되어 있어서 심장처럼 스스로 수축 이완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횡격막이 하강하고 흉곽이 확장하면서 그 흉곽 안의 압력을 변화시키면

바깥(대기중)의 압력과 흉곽 안(폐)의 압력의 차이에 의해 공기가 들어왔다 나갔다 할 수 있습니다.


폐에 호흡이 먼저가 아니라, 횡격막과 흉곽의 운동이 흡기를 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제가 호흡에 대해 설명을 할때

옛날 어렸을적에 풍선으로 폐 모형을 만들어 실험한 이야기를 했는데

잘 모르는 분들이 계시더라고요..

분명 학교에서 만들어서 실험했었는데 과학시간에...


그래서 그 이론과 모형을 보여드리려고 찾아봤습니다.


폐와 횡격막의 운동을 확인할 수 있는 모형 만드는 영상입니다.

만드는 과정은 패스 하시고 2분 부터 보시면 됩니다


아래의 고무막(횡격막)이 내려가면 안에 있는 작은 풍선(폐)가 부풀고 

올라가면 줄어드는걸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아래는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폐에대해 설명한 내용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lung, 肺] (두산백과)


폐의 기능은 호흡이며 심장과 함께 쉴 수 없는 중요한 기관이다. 

호흡, 즉 가스교환은 폐포에서 일어나는데, 

폐포는 탄력이 있는 얇은 막으로 되어 있으며 근육이 없으므로 스스로 신축할 수 없다. 

그래서 늑골을 외늑간근(外肋間筋)에 의해 위로 올리고, 

횡격막을 복강(腹腔)으로 향하여 아래로 내리면 흉강이 넓어져서 

거기에 따라 폐, 즉 폐포가 넓어져 기도(氣道)를 통하여 외기가 폐포 내로 들어온다. 이것이 흡기이다. 

다음에 외늑간근이나 횡격막이 이완되면 

흉강은 축소되고 폐도 축소되어 폐포 내의 공기는 기도를 통하여 밖으로 나간다. 

이것이 호기(呼氣)이다. 

이 흡기와 호기가 반복되는 운동을 호흡운동이라 한다. 

이것에 관여하는 근육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데, 

보통의 호흡 또는 수면 중일 때의 호흡은 

신경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명령되어 의지와는 관계 없이 운동을 하는데 

그 명령은 연수에 있는 호흡중추로부터 온다.





'노래하는 음악가(The Singing Musician)' 카페에 오시면

 음악과 보컬이론 등 더 많은 정보가있습니다!

 

http://cafe.naver.com/thesingingmusician

반응형
반응형

 

 

남도현 교수님이 직접 설명해주시는 성대보호를 위한 방법들 

 

올바른 자세, 스트레칭, 후두마사지, 호흡 을 정확하게 설명해주시고 계십니다.

 

 

'노래하는 음악가(The Singing Musician)' 카페에 오시면  

 음악과 보컬이론 등 더 많은 정보가있습니다!

 

http://cafe.naver.com/thesingingmusician

반응형
반응형



일단은, 노래하는 음악가 네이버카페의

Lv2 연구.분석 게시판에 업데이트 될 내용입니다.

앞으로 블로그에도 공개를 할지는 생각을 좀 더 해보고 결정하려고 합니다.
발성공부모임 Huit voix 에서 제가 발표했던 내용들입니다.

(다른선생님들께서도 아주 좋은 발표를 해주셨는데 다른분이 하신걸 마음대로 올릴 수 없으니까요)

워밍업, 어택(책이나 세미나 내용 정리 수준입니다)

위에 2주제에 비해서 아래의 3주제는 제가 정말 열심히 준비했던 내용입니다.
공명- 아주 이해하기 어렵던 내용이였습니다.

praat사용법- 제가 검색하며 실제 작동해보면서 준비했습니다.

포만트로 성도길이측정- 가수들의 말소리와 노래할때의 소리를 분석해서 성도의 길이가 얼마인가 재 봤습니다.

(박효신, 김범수, 마이클잭슨, 비욘세, 박정현, 파바로티, 레오누찌)

하드도 고장나고, 예전에 올려놓은 자료도 기간이 지나 받을 수 없다고 해서 
프린트 내용을 찍어서 올려야 할 것 같습니다 ㅠㅠ 아깝네요 정말...
시간이 오래되서 저도 또 까먹은것 같은데 다시 한번 봐야겠습니다.

크게 도움이 안 될 수도 있고, 이해가 어려울 수 있지만 깊이 공부하고싶으신 분들껜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노래하는음악가 네이버카페

http://cafe.naver.com/thesingingmusician

반응형
반응형


현악기의 줄이 사람의 성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음을 낼 때는 성대가 두꺼워지고(두꺼운 줄)
고음을 낼 때는 성대가 늘어나며 얇아집니다(얇은 줄)

고음을 낼 때 머리가 울린다, 소리가 위로간다, 위쪽에서 소리가 난다 란 표현은 
감각적인 표현이라 개개인마다 다릅니다. 
사실은 성대가 늘어나며 성대 접촉 면적이 얇아져야 그렇게 느껴집니다.

추상적으로만 접근해서 따라 갈 순 있지만 부작용이나 잘못 접근 할 가능성이 많기때문에
올바른 소리를 구분할 수 있는 귀가 필요합니다.


상담, 질문 환영합니다! 
노래하는음악가 카페
http://cafe.naver.com/thesingingmusician

 

반응형
반응형




호흡은  

흡기, 휴지기, 호기  로 나누어지는데, 그 비율은

[  1    :    1     1 ]  이다. 

그러나, 노래를 할때는 짧은 흡기를 하여 긴 시간 호기를 하여야하므로

발성법에서는 호흡훈련을 통해 발성기능의 극대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잘 훈련된 성악가의 경우 자신의 폐활량의 70%정도를 활용하고 있으며,

가수들이 55%, 일반인은 50% 정도라고 한다.

 

횡격막은 흡기의 주된 근육이며,

횡격막이 아래로 하강하고,

흉곽이 확장되면서 음압이 작용하여 폐로 공기가 유입된다.

 

횡격막이 흡기의 80%정도를 담당하고, 흉곽이 20%정도를 담당하므로

흉복식호흡이 가장 효율적인 호흡법이라고 할 수 있다.

 

횡격막이 평상 흡기의 80%정도를 담당하고 있으므로,

횡격막의 근력이 좋을수록 짧은 시간에 많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횡격막의 근력은 훈련을 통해 좋아질 수 있으며, 이것이 호흡훈련을

해야하는 이유이다.

훈련을 도와주는 기구로 '울트라 브리드'가 널리 알려져 있다.

 

올바른 흉복식호흡을 했을때 많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후두도 같이 하강하면서 안정된 소리를 낼 수 있는 위치를 잡게된다.

                                                                        - 출처 : 남도현 발성법


노래하는 음악가 네이버카페

http://cafe.naver.com/thesingingmusician

반응형

+ Recent posts